여성의 삶은 생애 주기별로 다양한 복지 요구가 발생합니다. 정부는 2025년을 기준으로 임신, 출산, 육아, 경력단절, 재취업까지 각 단계에 맞춘 복지정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여성이라면 꼭 알아야 할 복지제도를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.
1. 임신 단계 지원 정책
💳 국민행복카드 (임신·출산 바우처)
- 임신 1회당 100만 원 지원 (쌍태아는 140만 원)
- 산부인과 진료, 출산 관련 비용으로 사용 가능
- 카드사: KB국민, 삼성, BC카드 등
🩺 임산부 건강관리 서비스
- 정기검진 및 기초검사 무료 제공
- 빈혈·고혈압 등 임신성 질환 집중 관리
- 지역보건소 및 지정 산부인과 연계
2. 출산 및 육아 단계 지원
💰 첫만남 이용권
- 출생아 1인당 일시금 200만 원 지급 (2025년 기준)
- 국민행복카드에 포인트 형태로 지급
🍼 영아수당 및 부모급여
- 0~11개월: 월 100만 원 (현금+바우처)
- 12~23개월: 월 50만 원
- 어린이집 이용 시 ‘바우처’ 형태로 지급
🏠 육아휴직 급여 확대
- 2025년부터 첫 3개월간 최대 월 250만 원 지급
- 배우자 동시 육아휴직 시 ‘육아휴직 보너스제’ 적용
- 중소기업 근로자 대상 추가 지원 있음
3. 경력단절 여성 지원 정책
👩💼 새일센터 취업 지원
- 경력단절 여성 대상 직업훈련, 인턴 연계
- 훈련수당 및 실비 제공 (최대 월 116만 원)
- 6개월 이상 취업 시 ‘취업성공금’ 지급
💻 디지털 여성 인재 양성
- IT·AI·데이터분석 중심 온라인 무료 강좌 제공
- K디지털 플랫폼과 연계, 2025년 전국 확대
- 재택근무 연계형 일자리 창출 추진
👶 자녀 돌봄 연계 서비스
- 아이돌봄서비스: 시간제·종일제 돌봄 서비스 제공
- 소득기준 충족 시 정부지원 비율 최대 90%
- 긴급돌봄, 야간돌봄, 병원 동행 서비스 포함
4. 여성 건강 및 안전 정책
-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(연 최대 144,000원)
- 성폭력·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운영
- 여성 안심귀가 서비스 및 안심택배함 설치 확대
- 중년여성 갱년기 건강관리 프로그램 운영
5. 신청 방법 및 유의사항
- 복지로 (www.bokjiro.go.kr)에서 대부분 온라인 신청 가능
- 여성가족부·고용노동부 또는 보건소를 통한 지역별 신청
- 신청 시 필요한 서류: 신분증, 주민등록등본, 소득증빙 등
결론
2025년 현재 여성 복지는 '임신-출산-경력단절-재취업'이라는 생애 전 주기를 아우르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. 모든 제도는 신청자 본인의 상황에 맞춰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, 제도를 잘 활용하는 것이 경제적 자립의 첫걸음입니다. 나에게 맞는 제도를 확인하고, 지금 바로 신청해보세요.
👉 다음 글에서는 장애인 가족이 꼭 알아야 할 2025년 복지 혜택을 소개합니다.